유학 생활 팁, 모국 친구와의 교류 추천
지구촌 우리들 ① 몽골에서 온 난디아씨
유학생 초반 느낀 ‘어머니의 따뜻함’ 잊지 못해
몽골 학생들 연결하는 동아리 만들고 싶어
난디아(Nandin Erdene, 건축·19)씨는 우리 대학 언어교육원에서 한국어를 하지 못하는 몽골 유학생들의 통역을 맡고 있다. 몽골에서 고등학교를 졸업 한 그는 친구의 추천으로 언어교육원에서 유학 생활을 시작했다. 난디아씨는 “먼저 한국 유학 생활을 시작한 친구가 ‘전남대학교가 한국어를 제일 잘 알려준다’고 추천해 줬다”고 말했다. K-pop과 한국 드라마는 유학을 결심하게 된 이유였다. 그는 “샤이니를 가장 좋아했다”고 말했다.
2018년 유학 생활을 시작한 난디아씨는 한국어가 능숙하지 못해 힘들었던 일도 많았다. 그는“수업 중 몸이 아파 집에 가고 싶었지만, 선생님과 소통이 안됐다"며 "한국어를 할 줄 아는 친구의 도움을 받아 겨우 조퇴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현재는 통역을 할 수 있을 만큼 한국어 실력이 늘었다. 그 비결은 언어로 마음을 표현하는 것의 중요성이었다. 그는“어느 날 우연히 자막을 끄고 한국 드라마를 봤는데 내용을 모두 이해할 수 있었다"며 “소름이 돋을 만큼 깜짝 놀랐었다"고 말했다.
한국 생활에서 좋았던 기억으로는 유학 생활 초반 버스정류장에서 음식을 권해주시던 아주머니와의 에피소드를 꼽았다. 난디아씨는 “유학생이라고 소개하자 아주머니가 몸도 잘 챙기고 밥도 잘 먹으라고 걱정해 주었다"며 “어머니의 따뜻한 느낌을 받았다"고 회상했다.
막 유학 생활을 시작하는 유학생들에게 그는 “생각보다 더 힘들 수 있다"며 “힘든 상황에서 자신을 위로해 줄 수 있는 방법을 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 방법으로는 운동을 하거나 모국의 친구들과 자주 만나는 것을 추천하며 “타지에서 모국어로 마음을 나눌 상대가 있다면 생활이 나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우리 대학에 몽골 유학생이 20명가량 있다. 여건이 된다면 이 학생들을 연결해 주는 동아리를 만들고 싶다는 난디아씨는 “현재 한국인과 유학생이 짝을 이뤄 교류하는 버디 프로그램이 존재하지만, 유학생과 유학생이 교류하는 데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졸업 후 그는 한국의 건축사무소에서 4년간 일할 예정이다. 난디아씨는 “만약 연구하고 싶은 주제가 생긴다면 독일에서도 공부해 보고 싶다"며 “한국 유학 생활에서 느꼈던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이는 즐거움을 독일에서 또 느껴보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