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혁신 없이 지역 균형 발전은 없다

6·3 대선 특별기고 ① 교육

2025-06-01     김대권(철학‧22)

6·3 대선까지 하루 남았다. 우리 대학 학생들이 후보들에게 바라는 것은 무엇일까? 주제별로 모아봤다. 순서는 △교육 △취업 △주거 △인프라 △기후 △인구다.

대통령 선거철만 되면, 후보자들은 하나같이 ‘지방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외칩니다. 전임 대통령 역시 자신이 집권하면 ‘지방시대’를 열겠다고 단언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과연 과거에 비해 지역 불균형이 해소되고 있다는 체감을 하고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현실은 그 반대입니다. 지방과 수도권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고, 지방 청년의 유출은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청년들이 지방을 떠나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그러나 그 핵심에는 ‘교육’이 있습니다. 청년들은 교육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미래를 설계합니다. 대학이라는 공간에서 정보가 공유되고 집단지성이 형성되며 청년들은 성장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지방 대학생들이 그리는 미래는 수도권 대학생들에 비해 좁고, 작게 느껴집니다. 이는 단지 교육의 질 때문만이 아닙니다. 지방은 인구 규모가 작고, 다양한 인재가 모이기 어려우며 창의성이 싹틀 수 있는 환경이 부족합니다.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고자 하는 청년들은 결국 더 많은 자원이 집중된 수도권으로 향할 수밖에 없습니다.

청년들이 지방에서도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그 출발점은 지방대학의 혁신입니다. 단순히 취업률을 올리는 프로그램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지방대학을 청년들이 숨 쉬고 머물 수 있는 ‘지성의 장’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다양한 전공이 융합하고, 서로 다른 학문과 문화가 만나는 공간, 청년 스스로가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국가는 지역 국립대를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수도권에 뒤처지지 않은 교육과 문화 인프라를 갖출 수 있도록 투자해야 합니다. 그래야 청년들이 굳이 수도권으로 가지 않아도, 지방에서 자신만의 미래를 그려나갈 수 있습니다.

정치인과 대선 후보들은 종종 지역 불균형을 ‘일자리’ 문제로만 접근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청년을 단순한 노동력으로만 바라보는 시각입니다. 청년은 단지 일하는 사람이 아니라, 혁신을 이끄는 주체이며, 미래를 꿈꾸는 존재입니다. 청년의 문제를 일자리 너머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비로소 진짜 지역 균형 발전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첫걸음은, 지방대학의 혁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