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갑질 사망 사건 국감서 집중 질의
2025년 정기국회 국정감사
갑질 교수 수업 배정 지적 받아
대학 중심 조사위 구성 지적도
지도 교수와 연구 교수로부터 갑질 피해를 호소한 대학원생 사망 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재발 방지 요구의 목소리가 잇따랐다. 지난달 22일 전북대학교 진수당에서 열린 2025년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해당 사건과 관련한 질의가 이근배 우리 대학 총장에게 이어졌다.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사망한 대학원생의 문자 내역을 보면 부당한 업무 지시와 사적 업무 지시 내용이 모두 담겨있다”며 “부당한 회의비 지출, 허위 저자 등재 등 문제가 될 수 있는 일들을 대학원생에게 지시해 윤리 위반에 관여하게 했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 교수 배우자 명의의 페이퍼 컴퍼니 회사가 전남대 산학협력단과 공동으로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며 “이 모든 일들을 사망한 대학원생에게 시켰다”고 말했다.
이 총장은 “10월 말까지 진상조사위원회(조사위) 활동을 종결하기로 했다”며 “징계를 통해 적어도 법적인 문제는 정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 교수 계약은 12월에 종료된다”며 “그 이전까지 해결이 안 되면 계약을 끊으면 된다”고 말했다.
갑질 가해자로 거론된 지도 교수에게 수업이 배정됐던 것에 관한 질의도 나왔다. 김준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공무원이기 때문에 수업 의무가 있다는 논리였는데 말이 안 된다”며 처음에 교수에게 수업을 배정한 이유에 관해 물었다. 이 총장은 “지도 교수는 2학기 전체 강의에서 배제돼있다”고 답했다. 해당 교수는 한 달가량 수업을 진행하다가 자진 하차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부분 대학 측 인사로 이루어진 조사위 구성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은 “전남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조사위 13명 중 학생 대표 1명, 외부 변호사 1명을 제외하고 전부 대학 측 인사다”며 “이런 식으로 위원회를 구성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 총장은 “인권센터장 등 추천위원이 아닌 분들은 사실상 외부 위원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답변했다.
진 의원은 “이 문제가 단순히 억울한 죽음으로 유야무야 될까봐 유가족들이 우려를 많이 한다”며 “총장님이 확실하게 책임지고 마무리까지 잘 챙겨봐 주셨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