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총독부 초등학교 수신서’ 김순전 교수 5권 번역 발간
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 육성 사업 연구 "비판적 고찰 통해 일본 연구 지평 확대 기대”
우리 대학 김순전 교수(일문·일본문학) 팀은 ‘조선총독부 초등학교 수신서’를 번역해 출간했다. 지난 2005년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육성사업에 김순전 교수 팀이 선정돼 ‘조선총독부 발간 수신서를 통해 본 일본제국 만들기 분석-소생하는 제국주의 일본의 원류 탐색’의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연구의 일환으로 초등학교 수신서 번역이 추진됐다.
‘조선총독부 초등학교 수신서’는 극우 세력의 정치인들이 배우고 자란 책으로, 이 교과서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에게는 동화정책과 황민화 정책을 폈다. 이 책을 통해 일제 식민지 후, 어떻게 인간관과 가치관, 국가관을 지배하려 했는지와 한국 근·현대사를 왜곡하였는지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일제강점기 교육정책과 내용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이 가능해 식민지 발전론의 허구성을 없애는 이론적 토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한·일 관계와 한국의 근대 연구는 지나치게 감성적이고 민족주의 성향으로 흐른 경향이 있었다”며 “일제 강점기 역사에 대한 구체적 실증을 통한 연구가 필요했는데 이 책들이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책은 한국학중앙영구원에서 출판한 자료 중 누락된 부분을 추가로 1기부터 5기까지 전권을 번역한 것이며, 수신서 1기(1911~1921)는 교육침략 시도와 동화정책을 시도한 교과서이고 2기(1922~1927)는 문화정치와 내선융화를 강조한 교과서, 3기(1928~1937)는 근로존중 등 실천도덕 중시 교과서, 4기(1938~1941)는 내선일체 등을 비롯해 동화정책과 황민화교육 강화교과서, 5기(1942~1945)는 전시 체제하의 파쇼적·군사적인 교과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