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30일 열린 ‘2025 용봉대동풀이(대동제)’에서 총학생회가 학생회비 납부자만을 대상으로 학생회비 납부자 A·B존(전대존)을 운영하자 논란이 일었다. 총학생회의 이러한 전대존 운영 방식은 저조한 학생회비 납부율 제고와 납부자에 대한 혜택을 주기 위함으로 보인다.

하지만 필자는 이같은 전대존 운영을 반대한다. 이유는 세 가지다. 첫째, 대동제는 공동체적 성격을 가진 행사인데 특정 학생에게만 혜택을 주는 방식은 이러한 성격을 훼손한다. 둘째, 대학원생이나 휴학생처럼 학생회비를 납부할 수 없는 구성원에겐 기회조차 없다. 셋째, 대동제 예산은 학생회비뿐 아니라 학생들이 낸 등록금과 기업 후원비 등으로 구성된다. 학생회비 비중이 크지 않은데 이를 이유로 특정 구역을 납부자 전용으로 나눈 것은 부당하다.

타 대학에서도 학생회비 미납자에게 불이익을 주는 운영은 실패로 이어졌다. 지난 2022년 서울시립대는 축제에서 학생회비 납부자 전용 구역인 ‘시립존’을 운영하려 했으나, 학생들의 거센 반발로 인해 축제 직전에 모든 재·휴학생에게 개방하며 철회했다.

현재 우리 대학 학생회비 납부율은 약 15%에 불과하다. 납부액의 절반은 총학생회로, 나머지는 단과대 학생회로 비율에 맞춰 배분된다. 학생회비 납부율 저조는 단순히 학생 자치 기구의 운영을 위한 ‘예산 부족’의 문제가 아니다. 학생 자치 활동의 ‘관심과 참여 저조’라는 구조적 문제를 반영한다.

총학생회는 1학기 때 기숙사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해 ‘유스퀘어 셔틀버스 운영’을 실시했다. 다만 이 사업은 2학기 때 중단됐다. 예상보다 학생들의 이용률이 저조해 수요 대비 투입되는 예산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 사례는 학생회가 주관하는 사업이 실질적으로 운영되려면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가 필연적으로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필자는 사범대 소속으로 사범대 학생회가 주관하는 ‘시험기간 간식 행사’를 알게 된 이후 학생회비를 납부하기 시작했다. 간식 행사뿐 아니라 다양한 사업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학생회비 만원 이상의 가치를 충분히 체감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학생회비를 납부하는 일은 재정적 기여를 넘어서 학생 자치 활동에 대한 관심과 실질적 참여의 표현이다.

학생회비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난 지금, 학생회는 미납자에 대한 불이익보다 학생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통해 학생 자치 활동에 대한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예컨대 시험기간 간식 행사나 학생 주차권 확대 등 학생들 일상과 맞닿아 있는 복지 혜택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은 학생회비 납부를 ‘투자’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결국 혜택 중심의 운영은 학생회비 납부율을 높이는 동시에, 학생들이 학생회 사업에 관심을 두고 참여하도록 만드는 선순환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