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노조 “위협적 노동환경 바꿔야”
지난 7월 우리 대학 생활관에서 대학원생 한 명이 숨진 사건과 관련해 조사가 진행 중이다. 우리 대학은 지난 7월 16일 ‘대학원생 사망 사건 진상조사위원회’(조사위)를 꾸려 해당 대학원생이 겪었다는 갑질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를 조사 중이다. 피해 학생은 유서 형식의 휴대폰 메모를 통해 지도 교수와 연구 교수로부터 과도한 업무 지시와 부당한 대우를 받아왔다고 알려졌다.
조사위는 △업무가 과중했는가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졌는가 △갑질에 해당하는가를 조사 항목으로 두고, 갑질을 △권한 남용 △우월적 지위 행사 △부당한 요구나 처우 여부로 세분화 규정했다. 박상지 우리 대학 언론담당관은 “조사가 끝난 게 아니기에 구체적으로 어떤 혐의에 대해 조사 중인지는 알려줄 수 없다”고 말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조사위는 피해 학생과 두 교수의 컴퓨터 데이터와 카카오톡, 이메일 기록을 확보했고 해당 교수들은 즉각 업무에서 배제됐다. 다만 지도 교수는 전임교원의 수업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이번 학기에도 수업을 진행한다.
조사위의 조사가 끝나면 우리 대학 인권센터와 감사팀에서 본격적인 조사·감사가 이루어진다. 공식적인 수사기관이 아닌 조사위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후 혐의가 입증될 경우 우리 대학은 해당 교수에 대한 징계를 고려할 예정이다.
박 담당관은 “유족들이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대학이 최선을 다해 협조하겠다”며 “유족들은 교수들이 지은 잘못에 대해 합당한 죗값을 받기를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피해 학생이 카카오톡 ‘나와의 채팅’에 남긴 유서 형식의 메모에는 “더 이상 버틸 자신이 없다. 자신의 배를 불리기 위해 모든 일을 떠넘기는 상황에 희생당하고 싶지 않다”, “남은 사람들에게 너무 미안하다. 다른 사람들은 나를 보고 깨달음을 얻고 가스라이팅과 희생을 당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적혀 있었다.
지난 7월 17일 민주노총 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조 전국대학원생노동조합지부(노조)는 대학 사회를 향해 반성과 성찰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노조는 “억울한 죽음을 막기 위하여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는 노동환경을 바꿔야 한다”며 “대학사회의 성찰과 반성을 촉구하며, 삼가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