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정치참여를 위한 대학언론인 운동본부’가 전국 25개 대학 2천2백8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9월 23일부터 28일까지 실시한 ’대선의식조사’결과 이같이 밝혀졌다. 또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6·13지방선거에서 응답자 중 1천6백73(73.2%)명이 투표를 하지 않았다고 답했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1천2백73(55.7%)명이 하겠다고 답해 지방 선거보다 대통령선거에 대한 대학생들의 관심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21.9% 선거권 없어서 투표 못한다;;
대선에서 선거 참여 이유를 묻는 질문에 46.1%가 국민의 당연한 권리라고 답했고 투표를 하지 않는 이유는 선거권이 없어서 못한다는 응답자가 전체 21.9%로 가장 많았다. 이는 대학생들의 낮은 투표율이 정치에 대한 무관심 이외에 현행 제도상 선거연령문제와 연관되어 있음을 조사 결과 보여주고 있다.
이번 대선 의미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9백68(42.4%)명이 3김 정치 청산을 비롯한 정치인 세대교체를 들었다. 이어 남북화해 지향 정권 수립(18.7%), 진보진영의 정치세력화(13.8%)순으로 답했다.
;;대학생 절반, 지지 정당 없어;;
지지후보는 노무현(27.0%), 정몽준(18.4%), 이회창(12.3%), 권영길(6.0%) 후보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태 지지후보를 정하지 않은 학생들이 29.4%로 나타나기도 했다. 후보를 지지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이념적 성향이나 정책(39.1%) 그리고 자질과 능력(27.5%)이 중요시 됐다.
문제는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는 답변이 전체 응답자의 46.6%에 달했고 그 외 새천년 민주당(15.7%), 민주노동당(15.2%), 한나라당(12.7%) 순으로 나타나는 등 기존 정당에 대한 대학생들의 신뢰도가 대단히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현 정부 통일정책은 긍정적, 정치는 부정적;;
현정부의 정책평가는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43.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5.6%가 못한 편이라고 답했다. 분야별 평가에서 통일분야는 15.4%가 아주잘했다, 50.1%가 잘했다고 응답해 긍정적인 평가가 대체적이었고, 잦은 장관교체 등 잡음이 많았던 정치분야에 대해서는 못한편이다고 답한 응답자가 39.6%로 가장 많은 등 부정적인 평가가 다수였다. 이어 현정부의 부채로 지적되는 경제분야에 대한 대학생들의 평가는 무난했다.
;;차기 정권 과제는 부정부패 척결, 대학생 실업 대책;;
차기정권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27.7%가 사회 부정부패 척결을, 25.1%가 경제 회복 및 안정화에 기여해 줄 것을 주문하는 등 현정부의 실정과 연관된 과제들을 언급했다.
이어 차기정권이 대학사회에서 시급히 풀어야할 과제로는 대학생 실업대책(28.5%) 요구가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는 교육정책의 대안 마련(22.0%)을 꼽았다.
대학생들이 정치에 대한 영향력을 가장 많이 받는 언론매체는 방송(35.7%)이 가장 컸으며, 신문(23.9%)에 이어 인터넷언론(14.0%)이 유력한 매체로 평가됐다.
한편, 대학언론인들이 대선을 맞아 유권자 운동을 벌이는 것에 대해 영향력 면에서는 긍정적인 입장(37.2%)을 보였으나 구체적인 정치적 입장을 표명해야한다(24.3%)거나 언론사로서 적절한 활동이 아니다(8.6%)는 평가가 절반을 넘었다.
;;대학생 지지 정당도 지역정서 반영;;
한편 지역감정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는 대학생들의 지역별 정치의식을 보면, 노무현 후보에게 고른 지지를 보내주는 반면 지지정당에 있어서는 지역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대구경북의 경우 한나라당과 민주당 지지율이 16.1%대 9.1%로, 부산경남은 19.9%대 7.8%로 나타나 한나라당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광주전남과 전북지역의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지지율은 1%대 38%, 2.5%대 48.3%로 민주당 지지율이 큰 폭으로 높았다. 이는 대구경북과 부산경남 지역 대학생들은 한나라당 지지가 높은 반면, 광주전남과 전북지역에 있어서는 민주당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아 대학생의 정당지지에도 지역정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대신문 백지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