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호치민캠퍼스 분교 설립 계획 내놔
“지역 이탈 막을 방도 마땅찮아”
전국 통폐합 대학 잇따라

학령인구 급감과 수도권 ‘쏠림’ 현상, 지방 소멸로 지역거점국립대학(지거국)의 위기는 현실이 됐다. 경상국립대는 경남과학기술대와 통합하는 등 생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난 8월 8일 발표된 ‘서울대학교 중장기발전계획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대중장기발전계획연구모임은 서울대가 베트남 호치민대학과의 공동대학을 5년 이내에 설립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한국경제는 “서울대가 해외 분교 설립을 추진하는 것은 인구 감소에 따라 대학원에 진학할 학생이 급감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고 지난 8월 16일 보도했다.

우리 대학 발전계획(2022-2025)에서도 학령인구 감소와 청년 인구의 수도권 유출 증가에 따라 학생 유치의 어려움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함께 제시된 대안은 학사제도의 유연화, 지역 인재 육성, 지역민 평생학습 지원 등이다. 우리 대학 본부 관계자는 “학생들이 정주요건과 취업, 문화시설 등 인프라 때문에 흔히 말하는 ‘인 서울’을 하려 한다”며 “이런 현상을 강제적으로 막을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대학은 기존 30%였던 지역인재전형 비율을 50%로 올려줄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며 “또한 정부가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해 지역의 산업체로 취업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역인재할당제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전국에서는 또 다른 생존 전략으로 통폐합이라는 카드를 꺼내들고 있다. 지난해 3월,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경상대와 경남과학기술대가 통합 절차를 완료하고 경상국립대로 출범했다. 경기도 안성시의 국립한경대와 평택시 한국복지대가 통합해 내년부터 한경국립대로 새 출발을 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상지대와 상지영서대는 2020년에 통합됐고, 경주대와 서라벌대의 통합이 합의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김종영 경희대 교수(사회학)는 지역대의 위기 대응 방안으로 그의 저서 『서울대 10개 만들기: 한국 교육의 근본을 바꾸다(살림터, 2021.)』를 통해 ‘지거국의 서울대화(化)’를 제시하고 있다. 지난 5월, 서울경제의 보도에 따르면 김 교수는 “한국의 교육 지옥은 대학 서열화와 병목현상 때문에 발생한다”며 “지거국에 서울대만큼의 예산을 쏟아 연구중심 대학으로 길러낸다면 교육 지옥의 근원인 ‘대학 서열 체제’를 타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수도권 대학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지역대의 대학재정지원도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 10월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은 ‘정부 대학재정지원 분석’ 결과를 발표하며 “지금과 같은 대학재정지원 방식으로는 지역대의 재정위기 극복이 어렵고, 이는 대학은 물론 지역 경제의 위기로 이어질 것”이라며 “이 재원을 지역대 재정지원으로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2019년 기준 수도권 대학 재정지원은 총 2조4,565억원으로 대학당 337억 원을 받는 반면 지역대는 2조3,155억 원으로 대학당 185억 원을 지원받았다.

저작권자 © 전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