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어프리’라는 이름의 키오스크 앞에서 장애인은 멈춰 섰다. 뇌병변장애로 손가락을 오래 대고 있지 못해 지문 인증에 실패했고, 결국 필요한 서류는 뽑지 못했다. 법은 이미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를 의무화했지만, 현실은 여전히 배리어로 가득하다.
기획 취재를 해보니 배리어프리 키오스크에 관한 사람들의 관심은 매우 낮았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가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도 있었고 관련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지도 않았다. 법적으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를 설치해야하는 기관 관계자들도 ‘할 수 있는 게 없다’ ‘어쩔 수 없다’ 같은 나태한 답을 했다. 오히려 설치를 더 늦출 수 없는지 알아보는 곳도 있었다. 관련한 스트레이트 기사들은 있어도 이 사안을 깊게 다룬 기획 기사를 찾아보긴 어려웠다. 그래서 <전대신문>이 다뤄보자고 결심했다.
그러나 이 사안은 그저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를 많이 설치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 일반 키오스크에서 옆 사람의 작은 도움을 받아 원하는 서류를 뽑을 수 있던 장애인은 오히려 시각장애인용 모드에서는 원하는 서류를 뽑지 못했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마다 작동 방법이 너무 달라 사용자들이 혼란스러워했고 오류도 있었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라고 해놓고 정작 그 앞에 우산꽂이를 배치해 휠체어가 키오스크 앞에 서지 못한 사례도 있었다.
그런 와중 지난 8월 28일 보건복지부가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설치 의무 대상에서 소상공인을 제외하겠다는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장애인들은 “키오스크는 공공 기관보다 일상 생활에서 더 필요한데 예외를 두면 이 법은 의미가 없어진다”며 반발했다.
취재할수록 점점 더 사안이 불투명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럴 때 도움이 되는 방법은 단순하게 보는 것이다. 사람이 없는 키오스크 앞에 선 장애인. 혹은 정보취약계층. 원하는 게 있지만 이용하지 못한다. 이 이미지만으로도 배리어프리 키오스크가 속히 설치되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