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 한호재 교수(38·수의대 생리학)의 ‘배아줄기세포 활용기술 개발 연구’가 과학기술부로부터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의 중점과제로 선정됐다.
한교수는 앞으로 3년간 매년 4억1천만원씩 총 12억3천만원을 지원 받게 되며, 연구 성과에 따라 10년간 연구비를 지원 받게된다.
이 연구는 돼지의 배아줄기세포를 특정세포로 기능화시켜 세포치료법과 이종간 장기이식을 활용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현대 의학계에서는 생쥐를 주로 연구에 활용하고 있지만 돼지를 비롯한 경제동물에서 연구하는 것은 의의가 크다고 한다.
한교수는 돼지는 생체 장기 크기가 인간과 비슷한 동물로 돼지 배아줄기세포의 활용도를 높일 경우 인간배아 줄기세포 이용에 따른 자유로운 세포대체 치료의 새로운 모델로써 난치병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번 연구는 특정세포를 분화시켜 면역거부 반응을 없엔 후 질병 치료에 활용할 예정이다.
특히 관절이 아픈 환자에게 연골세포를, 췌장이 아픈 사람에게는 췌장 세포로 분화시켜 이식한다는 것.
이 연구는 발생공학기법을 이용한 수정란 체외생산을 통한 배아줄기세포 확립 시스템이 개발돼 줄기세포를 이용한 질환 모델과 생체반응기 형질전환 복제 동물 생산도 가능하며, 퇴행성 질환이나 각종 난치병 치료법 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한편 과기부에서는 한교수의 경우 대학본부의 지원없이 연구내용 하나만으로 연구비를 따낸 특별한 경우라며 이 연구에 대한 학계와 정부의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지방대 교수로는 유일하게 주관 연구책임자로 선정되는 등 여러 가지 화제를 낳고 있다고 했다.
/호남매일 11월 11일 15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