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자문단 22인 위촉·대통령 후보 공개질의 후 9일 기자회견
2030 유권자 네트워크(이하·2030네트워크)가 20대 대학생 유권자 7대 정책요구안을 발표했다. 2030 네트워크는 정치개혁, 대학교육, 청년실업, 문화, 여성, 생활, 병역 등 7개 분야에서 7대 주요 정책요구안과 30대 세부요구안을 확정, 오는 12월 9일 기자회견을 가질 계획이다.
2030네트워크가 확정한 7대 요구안은 △WTO 교육개방·교육시장화 정책 철회 △교육재정 확충을 통한 교육비 공적부담 확대, 교육여건 개선 △비정규직 양산의 근본적 해결책 마련 △문화기반시설 수도권 집중 탈피 지역 문화공간 조성·확대 △신용카드 발급 기준 강화와 고리 수수료 30% 인하, 과중 채무자에 대한 갱생대책 수립 △여대생 신규 취업에 대한 특별대책 수립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합리적 해결책 제시 등이다.
2030 유권자 네트워크 대학생 정책제안팀은 지난 11월 20일부터 정치개혁, 대학교육, 청년실업, 문화, 여성, 생활, 병역 등 7개 분야에서 각각 2∼3인의 정책자문단을 위촉, 정책제안운동을 벌여왔다. 이미 2030 네트워크는 전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10, 11월 설문조사를 각각 한 차례씩 실시해 '대학생 유권자 10대 정책공약'을 선정, 지난 11월 6일 서강대에서 열렸던 '대학생 정치의식과 정치참여' 토론회에서 발표했다. 7대 정책요구안은 지난 10, 11월에 실시했던 설문조사 결과와 정책자문단이 제출한 분야별 정책을 종합, 현재 대학생 유권자들에게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정책을 중심으로 선별했다.
2030네트워크는 7개 분야 7대 주요 요구안과 30대 세부 요구안을 대선 후보 공개질의를 거쳐, 오는 12월 9일 기자회견을 통해 공개적으로 여론화할 방침이다. 2030 네트워크 정책제안 2팀 김한결 간사는 "대학생들이 단순히 투표에 참가하는 것을 뛰어넘어,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어떤 후보자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근거를 마련해주기 위해서 정책요구안 선정작업을 가져갔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으로 참가한 교육학생연대 집행위원장 김수정 씨는 "대학생들 자신이 요구하는 정책들에 대해 정책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거나 무관심했던 소극적인 모습에서 벗어나, 대통령 후보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그 결과에 따라 후보자를 판단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