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청년문화활성화를 위한 예산지원
- 민간문화예술의 국가지원이 늘어났고 김대중정부의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라는 민관연대의 대전제를 찬성한다. 이러한 대전제위에 향후 정부는 문화예술예산을 더욱 확대하는 것은 물론, 대학(청년)문화단체에 대한 예산을 편성하여야 한다. 다른 사회문화단체와 달리 대학(청년)문화를 주도하는 젊은이들은 실험적 사고와 다양한 문화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에 ‘문화인재양성(이는 청소년에게도 해당)’이라는 관점에서 이를 뒷받침해야한다. 전체 문화예술예산의 10%를 과감하게 대학(청년)문화단체들에게 할당해야하며 지역대학(청년)문화활성화를 위해 4(수도권):6(지역)의 비율로 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그러한 예산은 비영리성에 기반한 문화예술창조활동에 쓰이는데 있다.
2. 지역대학가 문화공간조성
그나마 서울이라는 곳은 대학(청년)인에게 문화적 향유 및 생산을 할 수 있는 물적기반이 있지만, 지역은 너무나 열악하다. 이에, 대학가에 야외소공연장이나 소극장, 청년문화센타와 같은 문화네트워킹을 조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충해야한다.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 중, 민간자본이 투자할 경우 세금감면혜택이나 저리융자를 할 수 있는 법적 시스템 도입을 아울러 검토해야한다. 또한, 지역국립대학교의 문화공간에 대한 통계작업을 통해 문화공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곳은 대학동아리는 물론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전문공연장(야외소공연장, 전시공간)을 권고하도록 하고 이를 뒷받침해야한다.
또한, 지역대학가의 유흥문화에 대한 법적감시망, 시민대학생 모니터제도를 도입하여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시각을 어지럽히는 불법(입)간판, 네온등을 정리하고/ ‘대학가 아름다운 문화가게’등을 선정하여 대학생소비자를 유도하여야 한다.
- 끝마치며(실제로 지역청년학생 문화단체를 이끄는 경험을 토대로)
모난돌은 전남대 후문을 서울의 대학로처럼(아니, 그 이상으로) 문화공간으로 조성하기위한 활동을 지난 2년여간 펼쳤다. 이미 상업화된 공간을 문화공간으로 만드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위해 대학-청년문화예술인(단체)의 네트워킹(일단, 모여야 된다!!!!)을 기본발판으로 지역자치단체(북구청)에게 지원을 요청하는 것은 물론, 대학가 상인들을 설득해가는 과정에 있다. 하지만, 역시 가장 어려운 것은 ’돈’을 쥐고 있는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인식결여이다. 젊은이들에게 ’맘놓고’ 놀 수 있게 내버려둘 수 있는 환경을 과감하게 배려하는 사고가 지방자치단체가 그토록 바라는 ’지역문화활성화’의 밑거름이 되는 것이다.
* 이 글은 2030 네트워크 정책자문단으로 위촉되어 차기 대통령후보에게 ’문화’분야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게되며 썻던 글입니다. 부족한 것이 많지만 지역대학문화에 대한 소통에 조그마한 계기라도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