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반화 통해 인원 감당할 것"
비대위 "정책 백지화까지 투쟁"
전국 의대생 8,351명이 유급 및 제적 예정자로 알려지면서 내년에 3개 학번이 함께 수업을 듣게 되는 '트리플링'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지난달 9일 교육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전국 의대생 19,475명 중 8,305명(42.6%)이 유급 예정자이며 46명(0.2%)은 제적 예정자이다. 이는 전국 의과대에서 교육부에 제출한 자료를 취합한 결과이다. 유급이 확정되면 해당 학년의 수업을 다시 들어야 하며, 우리 대학의 경우 유급은 2회까지 가능하고 3회가 되면 제적된다.
유급 기준은 의과대마다 다르다. 우리 대학 의과대의 경우 교학규정 제53조에 따라 학년 성적 평균 평점이 C0(2.0) 미만이거나 취득 학점 중 F 성적이 있는 경우 유급된다. 우리 대학은 학생 보호를 이유로 정확한 유급 및 제적 예정 인원은 공개하지 않았다.
유급이 확정될 경우 24학번과 25학번이 26학번 신입생과 함께 1학년 수업을 듣게 되어 수업 인원이 3배로 늘어난다. 이는 교수 및 장소 부족으로 정상적인 수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대해 우리 대학 언론 담당인 홍보실장은 "아직 의과대 트리플링에 대한 대책은 없지만 기본적으로 분반화를 통해 인원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교수 부족 우려에 대해서는 "의사가 아닌 교수가 많아 우려되지 않는다"고 덧붙였으며, 추가적인 강의실은 "준비 중이지만 확정되진 않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의대생들은 계속 수업 거부를 이어갈 방침이다. 우리 대학 의과대 비상대책위원회는 학생들에게 "교육부가 들이미는 칼날이 매섭다"며 "남은 기간 파부침주의 각오로 임하겠다"는 다짐이 담긴 내용을 공지했다. 신지웅(의학·22) 의과대 비상대책위원장은 "대선이 끝나면 교육부는 바뀔 것"이라며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 한 끝까지 투쟁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전국 의과대 학생들이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증원된 의과대 정원·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백지화다. 교육부가 내년 의과대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린 것에 대해 묻자 신 비상대책위원장은 "모집 정원이 아닌 모집 인원의 변화로 이는 2026년도만 적용되는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대학은 최선을 다해 학생을 보호하겠다는 입장이다. 의과대 관계자는 "학교가 학생한테 유급시키기 위해 있는 건 아니지 않냐"며 "학칙을 어기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의대생들을 보호해 줄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급 예정자들이 2학기 수업에 참여한다 하더라도 이미 유급 예정인 것이 면책되지는 않는다. 의과대는 학년제이기에 우리 대학 유급 예정자들은 올해 12월 성적 발표 기간 후 내년 초 유급될 예정이다. 의과대 관계자는 "학생들이 학칙을 위반하지 않도록 계속해서 설득하는 중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