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회 통해 학생 사회 가능성 확인
학생 이해 전달 방안 모색할 것
“학생 사회가 갖고 있는 저력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한국대학총학생회 공동포럼'(공동포럼) 사무처장을 맡고 있는 연세대 박현민(행정·19)씨는 '전국대학생총궐기집회'(집회)를 통해 학생 사회의 가능성을 보았다. 그는 “대학생들이 정치나 사회 정의에 무관심하지 않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필요할 때는 공동의 목소리를 모을 수 있다는 희망을 보았다”고 말했다.
이번 집회를 주도적으로 이끈 박씨는 9개 대학 연합체로 구성된 공동포럼의 사무처장을 맡고 있다. 집회를 기획해 본 적도, 심지어 참여해본 적도 없다는 그는 “부족하고 떨리는 마음으로 준비했다”며 “민주주의를 위해 대학생들이 함께 나서야 한다고 생각되어 전국 대학 총학생회와 이번 집회를 개최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집회의 핵심 메시지는 윤석열 대통령 퇴진 요구, 불법 개혁 규탄 등이었지만 박씨가 특히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도 있었다. 그는 “성별, 지역, 학교, 전공 등 우리 세대에는 다양한 장벽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장벽들을 초월하여 폭력과 독재가 아닌 자유, 민주주의, 상호 존중으로 운영되는 나라를 바란다”며 “이것을 위해 모든 학교가 협력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집회 준비 중 가장 어려웠던 점은 대학마다 사정이 달라 하나의 방향으로 합의하기 쉽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그는 “특히 집회 예산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박씨는 “대학별로 학생회비 의결 과정이 다르기에 집회 예산으로 학생회비를 쓰는 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며 “후원을 받는 것이 어려운 대학이 있는 등 그런 것들을 조율하는 게 어려웠다”고 말했다. 집회에 사용된 예산은 약 5천만원으로 모금이 가능한 12개 학교가 품앗이로 마련하게 됐다.
마지막으로 그는 “앞으로도 시국을 계속 주시하며 공동행동이 어떻게 학생들을 잘 대표할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학생들의 이해와 요구를 제도권에 잘 전달할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고 말했다.
